[프로그래머스] 크레인 인형뽑기 게임(JAVA)

업데이트:


문제 설명

게임개발자인 “죠르디”는 크레인 인형뽑기 기계를 모바일 게임으로 만들려고 합니다.
“죠르디”는 게임의 재미를 높이기 위해 화면 구성과 규칙을 다음과 같이 게임 로직에 반영하려고 합니다.
크레인1

게임 화면은 “1 x 1” 크기의 칸들로 이루어진 “N x N” 크기의 정사각 격자이며 위쪽에는 크레인이 있고 오른쪽에는 바구니가 있습니다. (위 그림은 “5 x 5” 크기의 예시입니다). 각 격자 칸에는 다양한 인형이 들어 있으며 인형이 없는 칸은 빈칸입니다. 모든 인형은 “1 x 1” 크기의 격자 한 칸을 차지하며 격자의 가장 아래 칸부터 차곡차곡 쌓여 있습니다. 게임 사용자는 크레인을 좌우로 움직여서 멈춘 위치에서 가장 위에 있는 인형을 집어 올릴 수 있습니다. 집어 올린 인형은 바구니에 쌓이게 되는 데, 이때 바구니의 가장 아래 칸부터 인형이 순서대로 쌓이게 됩니다. 다음 그림은 [1번, 5번, 3번] 위치에서 순서대로 인형을 집어 올려 바구니에 담은 모습입니다.

크레인2

만약 같은 모양의 인형 두 개가 바구니에 연속해서 쌓이게 되면 두 인형은 터뜨려지면서 바구니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위 상태에서 이어서 [5번] 위치에서 인형을 집어 바구니에 쌓으면 같은 모양 인형 두 개가 없어집니다.

크레인3

크레인 작동 시 인형이 집어지지 않는 경우는 없으나 만약 인형이 없는 곳에서 크레인을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또한 바구니는 모든 인형이 들어갈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고 가정합니다. (그림에서는 화면표시 제약으로 5칸만으로 표현하였음)

게임 화면의 격자의 상태가 담긴 2차원 배열 board와 인형을 집기 위해 크레인을 작동시킨 위치가 담긴 배열 mov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크레인을 모두 작동시킨 후 터트려져 사라진 인형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board 배열은 2차원 배열로 크기는 “5 x 5” 이상 “30 x 30” 이하입니다.
  • board의 각 칸에는 0 이상 100 이하인 정수가 담겨있습니다.
    • 0은 빈 칸을 나타냅니다.
    • 1 ~ 100의 각 숫자는 각기 다른 인형의 모양을 의미하며 같은 숫자는 같은 모양의 인형을 나타냅니다.
  • moves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moves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1 이상이며 board 배열의 가로 크기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board moves result
[[0,0,0,0,0],[0,0,1,0,3],[0,2,5,0,1],[4,2,4,4,2],[3,5,1,3,1]] [1,5,3,5,1,2,1,4] 4


JAVA 풀이 과정

import java.util.ArrayList;

class Solution {
    public int push(int[][] board, int move){
        int num = 0;
        for(int i = 0; i < board.length; i++){
            if(board[i][move-1] != 0) {
                num = board[i][move-1];
                board[i][move-1] = 0;
                return num;
            }
        }
        return 0;
    }

    public int solution(int[][] board, int[] moves) {
        int answer = 0;
        int temp = 0;
        ArrayList<Integer> basket = new ArrayList<>();

        for(int i = 0; i < moves.length; i++){
            temp = push(board, moves[i]);
            if(temp != 0) {
                basket.add(temp);
                for(int k = 0; k < basket.size() - 1; k++){
                    if(basket.get(k) == basket.get(k + 1)) {
                        for(int j = 0; j < 2; j++) basket.remove(k);
                        answer += 2;
                        k = 0;
                    }
                }
            }
        }
        return answer;
    }
}


결과1

처음에는 푸는데 급급해서 효율성이라고는 1도 찾아볼 수 없고, 너무 불필요한 반복이 많았던 코드를 작성했다. 통과를 했다는 뿌듯함은 잠시, 테스트 4번이 20초를 넘어가는 걸 보고 ‘아, 이건 뭔가 잘못됐다.’라는 생각으로 코드를 약간 손봤다.



리팩토링

import java.util.ArrayList;

class Solution {
    public int push(int[][] board, int move){
        int num = 0;
        for(int i = 0; i < board.length; i++){
            if(board[i][move-1] != 0) {
                num = board[i][move-1];
                board[i][move-1] = 0;
                return num;
            }
        }
        return 0;
    }
    
    public int solution(int[][] board, int[] moves) {
        int answer = 0;
        int temp = 0;
        ArrayList<Integer> basket = new ArrayList<>();
        
        for(int i = 0; i < moves.length; i++){
            temp = push(board, moves[i]);
            if(temp != 0) {
                if(!basket.isEmpty() && (temp == basket.get(basket.size()-1))) {
                    basket.remove(basket.size()-1);
                    answer += 2;
                } else{
                   basket.add(temp);
                }
            }
        }
        return answer;
    }
}


결과2


처음에 작성했던 코드와 다른 점은 temp가 0이 아닐 때 basket에 먼저 넣지 않고, basket 맨 뒤에 있는 값과 temp을 비교해 둘이 같으면 basket의 맨 뒤에 있는 값을 삭제하고 answer에 2를 누적 저장했다. 그리고 같지 않으면 basket에 담았다. Stack을 이용하면 좀 더 짧게 코드를 작성했겠지만 뭔가 그래도 비슷하게 구현은 해보고 싶어서 구구절절 코드를 짜봤다.



다른 사람 풀이

// 홍희표 , 김재용 , lily , 주익정
import java.util.Stack;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board, int[] moves) {
        int answer = 0;
        Stack<Integer> stack = new Stack<>();
        for (int move : moves) {
            for (int j = 0; j < board.length; j++) {
                if (board[j][move - 1] != 0) {
                    if (stack.isEmpty()) {
                        stack.push(board[j][move - 1]);
                        board[j][move - 1] = 0;
                        break;
                    }
                    if (board[j][move - 1] == stack.peek()) {
                        stack.pop();
                        answer += 2;
                    } else
                        stack.push(board[j][move - 1]);
                    board[j][move - 1] = 0;
                    break;
                }
            }
        }
        return answer;
    }
}


위의 코드는 Stack으로 구현한 코드이다. 확실히 Stack 클래스를 이용해서 풀이하니 코드가 훠어어어얼씬 짧다.

댓글남기기